본문 바로가기

글쓰기 공부

2014.08.21-3 글쓰기의 공중부양 - 이외수 1. 발상의 전환 없이 글쓰기의 발전을 기대하지 말라. 의문은 발상을 전환시키는 도화선이다. 끊임없이 의문을 던져라. 참새는 왜 걷지 못할까. 양심 측정기가 발명되면 어떤 사람들이 가장 강력하게 사용을 반대할까. 물에 비친 달은 물일까 달일까. 돌고래는 정말로 외계에서 온 지성체일까. 끊임없이 의문을 던지면서 해답을 탐구하라. 남들이 보는 시각과 똑같은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습관을 버려라. 그래야만 남들이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것들을 발견하고 남들이 미처 깨닫지 못했던 것들을 깨달을 수 있다. 2. 글로써 타인을 감동시키거나 설득시키고 싶다면 진실하라. 진실은 사실과 다르다. 사실을 통해 그대가 얻은 감정이 진실이다. 글쓰기는 자기 인격을 드러내는 일이다. 글을 쓰면 그대.. 더보기
2014.08.21-2 수필의 탈아마추어리즘.-임헌영 1. 수필가라 되려면 주부표 수필가에서 탈피하라.불량에서 해방되라 예) 아침의 전화로 시작되는 것 정년퇴직한 교사가 많다. 2. 너무 많이 쓰려고 하지 말고 최대한 할 말만 써라. 3. 수필작법을 잊어라. 기행문에서 너무 개인의 사사로운 이야기보다 불국사를 갔으면 불국사에 관한 이야기를 써라 4. 도입부에서 강력한 문구를 넣어라. 시적장면도 좋다. 예)이창동의 '녹천에는 똥이 많다.' 5. 살림을 철저히 해라. 그 분야에서 프로가 되어야만 글도 잘 나온다. 6. 상대방이 듣고 싶어하는 글을 써라 예) 낚시이야기는 낚시의 '밥'이야기를 써라. 7. 소설은 묘사이지만 수필은 사실과 묘사다. 시,소설 빼고 다 산문이다. 8. 감동적인 한 장면을 떠올려라 9. 멋진 시적도구를 가져.. 더보기
2014.08.21-1 혼돈에 질서를 부여하기-손광성의 수필쓰기 글쓰기에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혼돈에 질서를 부여하는 일이다. 우리가 아무리 논리적으로 사고한다고 해도 그것은 무질서한 상태에 지나지 않는다. 대상을 볼 때도 그렇다. 한 대상이 우리의 의식에 들어올 때는 전체가 동시에 들어온다. 그러나 대상을 그림으로 그리거나 글로 써야 할 경우, 어떤 요소부터 먼저 그리거나 써야지 동시에 다 그리거나 쑬 수는 없는 것이다. 질서가 필요하다. 이런 계획이 서있지 않으면 문장이 통일성을 잃어서 비효율적이 될 뿐만 아니라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이 될 때가 있다. 글의 전체적 구성은 물론 세부적인 열거,묘사,서사, 어휘의 선택과 어순 및 구절과 문단의 배열에 있어도, 어디에서부터 시작해서 어디에서 끝을 맺는가 하는 과정은 그 글의 성.. 더보기
2014.08.21 김태길. 글을 쓴다는 것사람은 가끔 자기 스스로를 차분히 안으로 정리할 필요를 느낀다. 나는 어디까지 와 있으며,어느 곳에 어떠한 자세로 서 있는가? 나는 유언무언 중에 나 자신 또는 남에게 약속한 바를 어느 정도까지 충실하게 실천해 왔는가? 나는 지금 무엇을 생각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길을 걸을 것인가? 이러한 물음에 대답함으로써 스스로를 안으로 정돈할 필요를 느끼는 것이다. 안으로 자기를 정리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좋은 것은 반성의 자세로 글을 쓰는 일일 것이다. 마음의 바닥을 흐르는 갖가지 상념을 어떤 형식으로든 거짓 없이 종이 위에 옮겨 놓은 글은 자기 자신을 비추어 주는 자화상이다. 이 자화상은 우리가 현재를 살피고 앞으로의 자세를 가다듬는 거울이기도 하다. 글을 쓰는 것은 자기의 과거와 현재.. 더보기